앞의 포스트에 이어서, 연속으로 김훈의 소설입니다.
[남한산성]은 김훈의 역사 읽기라고 생각되는 소설입니다. 지금까지 김훈이 역사를 읽어온 소설은 [현의 노래]와 [칼의 노래]가 있었습니다. 저 역시도 [칼의 노래]를 처음으로 김훈의 소설에 대해 알았고, 바로 이어서 [현의 노래]를 읽어왔으니 사실상 앞에서 감상을 적은 [공무도하]를 제외하면 다들 역사와 조금씩은 관련이 있는 소설이었군요.
[칼의 노래]는 이순신, [현의 노래]가 우륵에 대해 쓴 소설이라고 한다면 [남한산성]은 앞의 것들과는 범주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딱히 누군가의 인생을 쓴 소설이 아니라는 거지요. 그럼에도 그 누군가를 표현해야 한다면, 민중이라고 해야 할까요. 물론, 왕이 나오고 주전파, 주화파도 나오고 열심히 쳐들어온 청나라도 나옵니다. 병자호란이 배경이니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요.
단순히 많다. 라고 말하기 어려운 등장인물들이 다채롭게 나오지만 그럼에도 그 중심에 있는 것은 민중이라고 생각합니다. 담담하게 당시를 김훈의 시선으로 묘사하면서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민중이었으니까요.
김훈이 [남한산성]에서 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누군가의 잘못을 탓하려는 것도 아니었으며, 누군가를 칭찬하거나 떠받들기 위함도 아니었으니까요. 단지 그냥 있는 그대로, 그렇게 되었을 거라는 사실을 김훈의 생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었겠지요.
그런 점에서 본다면 다른 김훈의 역사소설인 [칼의 노래]나 [현의 노래]와 범주를 같이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두 소설 다 지금까지 보지 않았던 시선, 생각하지 않았던 관점으로 이순신과, 우륵을 보고 있으니까요. [남한산성]은 그러한 시선을 이순신이나 우륵같은 개인이 아닌 병자호란과 남한산성이라는 사건과 지역으로 돌린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공무도하]의 감상에서도 적었던 내용이지만 [남한산성]에서 재미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찾으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재미보다는 민중의 삶과, 인생을 찾아보는 것을 더 추천하겠습니다.
-潾-